최근 포스트

[iOS] Swift의 pattern

Pattern 패턴은 특정 값이 아닌 값의 구조를 나타내므로 다양한 값으로 패턴을 일치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패턴은 switch / if / for 등의 키워드와 자주 사용되고 두 개 이상의 키워드가 합을 이뤄 동작한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던 코딩방식에도 패턴이 적용되고 있었으나...

[iOS] Swift의 Type

named Types 이름을 가진 타입으로 Class / Struct / Enum / Protocol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런 타입들은 이름을 지정해서 만들기 때문에 named Types이다(?) Int / String / Bool 등도 결국 Struct로 구현이 되어있기 떄문에 ...

[iOS] Equatable

클래스나 구조체를 비교하는 방법 우리가 만들어서 사용하는 클래스나 구조체는 단순 ‘==’ 로 같은 객체인지 비교가 불가능하다. 내부의 프로퍼티는 동일한지 확인이 가능하지만 객체 자체는 비교가 불가능! 그말은 클래스나 구조체는 내부적으로 객체 자체를 비교하는 방법이 구현이 되어있지 ...

[iOS] Delegate vs Callback

Swift에서 비동기를 처리하는 방법들 swift에서 비동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Delegate 패턴이나 Callback 함수등이 있다. 결국 이벤트를 감지해야하는 곳에서 메소드를 정의하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부분(?)에서 메소드를 구현하여 반응하는 공통적인 구조이다. 목적이 같아...

[iOS] Swift에서의 일급객체

일급 객체의 조건 Swift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지향 패러다임에 따라 1급 객체로서의 조건을 갖춘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급 객체란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를 말한다. 보통 해당 조건들을 만족하면 일급객체라고 할 수 있다. 객체가 ...